배경2 1-2. 좋은 귀 #1. 듣기감수성 생겨난 배경 1-2. 좋은 귀 어떤 고민을 얘기하고, 그에 대한 대답이나 감정상의 위로, 공감, 지지를 받으려면 해당 사건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 한다. 그 사건과 상황에 대해 더 자세히 말할수록 듣는 사람의 이해의 폭의 더 넓게 된다. 그렇다면 고민으로 대화를 요청한 사람은 위로, 공감, 지지와 문제 해결에 대한 실마리를 더 많이 들을 수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자는 5분도 안 돼 나의 상황과 문제, 감정상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그에 알맞은 대꾸를 하였다. 해주었다가 아니고 하였다이다. 수동적으로 나의 감정을 맞추고자 대꾸했다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자신의 반응을 하였다는 것이다. 자는 어떤 생각으로 대꾸했는지 모르나 나의 느낌은 그랬다. 한 번은 2시간 정도 얘기해야 그 맥락과 사건.. 2019. 7. 27. 1-1. 처음 고통의 사건 #1. 듣기감수성 생겨난 배경 1-1. 처음 고통의 사건 듣기감수성이 생겨난 배경은 이렇다. 처음은 고통의 시작이었다. 그 고통 처음은 2015년 봄, 여름으로 기억한다. 당시 나는 한 회사에 근무했는데, 언제부터인가 회사 가기가 너무 싫어서 일요일이면 밤을 꼬박 새우곤 했다. 기억으로는 두세 달 정도 되는 것 같다. 회사 안에서 내 감정과 생각을 터놓고 얘기할 사람이 없었으며, 한다고 해도 답답함만 더 쌓여갔다. 주변의 사람을 찾았다. 찾으니 남자 둘과 여자 한 명이 있었다. 세 사람은 동창인데, 둘은 초등동창이고, 하나는 대학동창이다. 친밀함을 일정 기간 동안 만나는 횟수에 빗대어 표현하자면, 가는 남자이며, 10이다. 자는 여자이며, 3~4이다. 차는 남자이며 1~2이다. 가에게 말했을 때, 듣기는.. 2019. 7. 23. 이전 1 다음